HOME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사이트맵

인기검색어 : CCM OR 샬롬 김대일 마음 

 

 
 

 

Untitled-3.gif
 

 HOME > 커뮤니티 > 홍보게시판


한해가 얼마남지 않았네요. 넘 어려운 요즘 잠깐이라도 진지한 시간을 가져볼까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눈꽃이름으로 검색 댓글 0건 조회 1,415회 작성일 03-12-21 22:49

본문

2.jpg



전쟁은 체면이나 양심, 도덕률



이런 것과는 거리가 먼 곳에 현실로 존재한다.



유치원에 다녀야 할 나이의 어린이가 깡통을 들고



거리에 나가 낯선 얼굴들에게 손바닥을 벌려야 했다.





4.jpg



나무뿌리라도 먹어야 산다.



그리고 잡초보다 모질 게 살아남아야 했다.



아이를 업은 소녀의 손에 쥐어진 나무뿌리는



이 가족의 한 끼 식사일까,



아니면 땔감일까.





5.jpg



추위와 배고픔에 지친 어린 형제가 골목에서 해바라기를 하고 있다.





6.jpg



전란통에 용케도 살아남은 이 소년 소녀들은 시민혁명과 쿠데타,



군사독재와 경제기적의 한복판을 질풍노도처럼 관통하여



"의지의 한국인"을 세계에 알리는 주역이 되었다.





7.jpg



부모님은 피난통에 돌아가시고, 살던 집은 폭격으로 다 부서져 폐허가 된 터에



어린 소년이 버려진 채 눈물을 훔치고 있다.



고난의 1950 년대를 몸으로



때우며 살아온 이 민족의 처절한 단면이다.




8.jpg



찬 이슬을 피할 수 있는 곳이라면 헛간이라도 좋았다.


행색은 초라해도 카메라를 강하게 의식하는 이 초롱초롱한



눈매의 자매들은 지금쯤 어떤 모습이 되어 있을까.





9.jpg



개털모자에 항공모함같은 헝겊 군화, 곳곳을 기운 이 복장이



1950년대 유년시절을 보냈던 대부분



한국인의 자화상이었다.




10.jpg



추위만 이길 수 있다면 누더기가 다 된 솜바지라도 좋다.




11.jpg



판자로 얼기설기 엮어 지은 2층 건물 곳곳에 피난민이 바글대고 있다.



고함 한번 치면 풀썩 주저앉을 듯 위태로운 건물 모습이 위기에 처한



조국의 모습을 상징하는 듯하다.





12.jpg



엄동설한 추위를 피하기 위한 땔감도 넉넉지 못했던 시대에



두 소년이 끌고 가는 수레에는


한 식구의 온기를 담보하는 행복이 실려있는 듯하다.





13.jpg



태평양을 건너온 미군복을 얻어 입는 것이



가장 큰 행복이었던 시절이 있었다.


간혹 마음씨 좋은 미군 아저씨를 만나면



미국으로 입양되는 행운을 얻기도 했다





16.jpg

연을 들고 포즈를 취한 소년들.


전쟁의 傷痕(상흔)을 잠시 잊은 듯하다.





17.jpg



추위와 배고픔에 지친 한 아이가

탈진 했는지 기둥에 머리를 기대고있다.



마치 요즘 북한 장마당의 꽃제비를 연상케 하는 모습이다.





18.jpg



미군 병사가 한 소년을 목욕 시키고 있다.



소년은 카메라를 들이대자 잔뜩 겁을 먹었는지 얼굴 표정이 굳어 있다.




20.jpg



노인이 문 긴 담배대를 고개를 외로 꺽고 바라보는 소년과,


소년이 손에 쥔 깡통 속을 바라보는 노인.


전쟁은 노인의 빈 담배대와 소년의 빈 깡통 속에 있었다.





21.jpg



봇짐을 등에 진 할아버지와 망태기를 손에 든 손녀.




22.jpg



피난을 가는 일가족의 전형적인 모습.



이렇게 지게에 가재도구를 싣고



수백 리 길을 걸어서 피난을 떠나야 했다.





24.jpg



길가에 앉아 참외 등을 팔고 있는 아낙들





27.jpg



젊은이들이 가질 수 있는 직업이래야 날품팔이가 고작이었던 시절



한 지게꾼이 피로에 지친 모습으로 길가에서 잠들어 있다.





28.jpg



황량한 벌판을 배경으로 포즈를 취한 어린이.



담요 한 장으로 매서운 추위를 견더낼 수 있을까





29.jpg



포로수용소 내에서 친공 포로들이 제작해 걸어 놓은 선동 포스터.





30.jpg



거제도 포로수용소에서 똥통을 운반하고 있는 공산군 포로들.





32.jpg



인민군 포로들의 숙소. 난민 캠프를 연상케 한다.




33.jpg



수용소에서 공산군 포로들이 한가롭게 목욕을 하고 있다.


피가 튀고 뼈가 조각 나는 포연 자욱한 전장은 이들에겐 일장춘몽이었을까.





34.jpg



거제도 포로수용소의 취사장.흡사 무슨 공장을 연상케 한다.



수만 명의 포로를 먹이는 것도 간단치 않은 일이었다.





37.jpg



무장 경비병에 둘러싸인 채 뭔가 지시사항을 듣고 있는 인민군 포로들.





39.jpg



여유를 되찿은 인민군 여자 포로가 미소를 짖고 있다.





40.jpg



아직도 살기가 가시지 않은 눈으로 카메라를 응시하는 인민군 포로.



탁발승처럼 모포를 가슴에 두른 것이 인상적이다.





41.jpg



수용소 연병장에 모여 앉아 망중한을 즐기는 포로들.





42.jpg



거제도포로수용소 경비병이 인민군 포로들로부터 입수한



철조망을 뜯어 만든 사제 무기와 도끼,칼 등을 들고 있다.





43.jpg



가슴에 태극기와 양 팔뚝에 멸공,애국 이라는 글씨를 새긴 반공 포로.



밤마다 親共(친공)포로와 反共(반공)포로들의 살육전에



많은 포로들이 목숨을 잃기도 했다.





45.jpg



태극기를 들고 공산당 격퇴를 환영하는 마을 주민들.





46.jpg



삶과 죽음이 무시로 교차하는 전쟁에서 운이 좋은 사람들은 살아나고



운이 다한 사람들은 한 점 흙으로 돌아갔다.






-----------------------------------------------------------------------------





한국 경제 규모 세계 12위권, 1인당 국민소득 12000달러, 서울 세계 10대 도시 선정,



한글 세계 최우수 언어 선정, 한국 경쟁력 세계 10위권, 과학기술 세계 6위, 세계 10대 무역대국, 한국 대중문화 열풍



… 전쟁의 흔적은 어디 갔습니까?



1세기도 안 되서 이렇게 발전을 이룩한 국가는 세계유일 한국 뿐.



작은 국가에서 뿜어져 나오는 문화적 파워와 경제적 풍요





서울



rez_gangnam.jpg



sony.jpg



kyungminpark_31.jpg



nigseodd.jpg



5.jpg



fgbdd2.jpg



ga33.JPG



ha.JPG



dog.jpg



bang.jpg





대구



daeg.JPG



daegu022.jpg



Dae.jpg





광주



g.JPG





부산



달맞이%20고개에서%20본%20해운대.jpg





출처 : 한류열풍사랑 ('♡하얀사랑♡' 님, '바람바람바람' 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1,240건 27 페이지

검색








     
 

방송국소개       제휴및광고문의       언론보도       개인정보취급방침       사이트맵       오시는길

 
 

136-853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3동 746번지 M층 기독교인터넷방송국 와우씨씨엠        비영리단체등록번호 : 305-82-71411 (대표 김대일)

대표전화 : 02)6497-2969       이메일 : cyberdaeil@hanmail.net         Copyright ⓒ WOWCCM.net. All Rights Reserved.